티스토리 뷰
[통계 이야기/Mplus를 이용해보자] - Mplus 기초 1
[통계 이야기/Mplus를 이용해보자] - Mplus 기초 2 (SEM) ◁ 현재 포스팅
[통계 이야기/Mplus를 이용해보자] - Mplus 기초 3 (매개)
[통계 이야기/Mplus를 이용해보자] - Mplus 기초 4 (조절)
저번에 기초 1에서는 아주 기초적인 부분을 알아봤어요.
Mplus 의 커맨드는 크게
TITLE:
DATA:
VARIALBE:
DEFINE:
ANALYSIS:
MODEL:
OUTPUT:
SAVEDATA:
PLOT:
MONTECARLO:
이렇게 나뉘어져요.
저번에는 TITLE, DATA, VARIABLE을 중점적으로 봤고, DEFINE은 수학 공식만 넣으면 되니 직접 하실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요.
ANALYSIS:
무슨 분석을 하겠냐? 를 묻는 커맨드죠. 기본적으로 descriptives는 결과값으로 나오고, 하위 커맨드는 TYPE, ESTIMATOR, BOOTSTRAP 등이 주로 쓰여요.
예를 들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신다면
TYPE = EFA
이런 식으로 하고자 하시는 분석 방법을 넣으시면 돼요.
그리고 ESTIMATOR는 말 그대로 추정 방법을 말하며, 추정 방법의 약자를 넣으시면 돼요. 만약 따로 설정하지 않으시면 SEM에서는 ML (Maximum Likelihood)이 기본 추정 방법이예요.
MODEL:
은 말 그대로 우리가 모델을 만드는거예요. 잠재 변수를 만들고 싶다면 BY 커맨드를 사용해서,
latentvar BY item1 item2 item3;
감이 오시죠?
ON은 인과관계를 나타내요.
dv ON iv1 iv2 iv3;
영어를 생각하면 쉬워요.
위의 분석 방법을 영어로 쓰면,
The dv was regressed on the iv1, iv2, and iv3.
WITH 는 공분산을 의미해요.
var1 WITH var2;
조금만 더 나가서 오늘은 SEM 할 때 필요한 기초 명령어들을 살펴볼게요.
SEM을 하기 위해서는 잠재(latent) 변수를 만들어야겠죠?
잠재 변수를 만드는데는 3가지 방법이 주로 쓰여요.
Fixed factor
Marker
Effect coding
이 중에서 위 둘, fixed factor 와 marker 방법을 알아볼게요.
Fixed factor
Fixed factor는 쉽게 생각하면 잠재 변수의 분산을 1로 고정시켜 요인 적재량을 표준화시켜버리는 방법이예요.
잠재 변수의 분산이 1로 고정된거 보이시죠? 이게 Fixed factor 예요.
Fixed factor로 모델을 만들고자 하신다면, 먼저 BY 커맨드로 잠재 변수를 정의내려줘요.
MODEL:
상위 커맨드를 치시고,
A BY A1* A2 A3;
이렇게 가장 처음 측정 변수에 *를 추가해주시면 돼요.
만약 *를 넣지 않으면 처음 측정 변수는 1로 고정이 돼요. 이게 default로 설정된거예요. 만약 *을 추가하면 이 default를 풀어주는 거예요.
Marker
AMOS에서는 이 Marker 방법을 default로 사용해요. 이 방법은 한 요인적재량을 1로 고정시키는 방법이예요.
여기서는 경로 하나가 1로 고정되었죠? 이 X1을 marker 변수라고 불러요. 어떤 변수를 1로 고정하느냐는 임의적으로 하시면 돼요.
잠재 변수의 이름을 A이고 측정 항목이 A1, A2, A3라면
A BY A1 A2 A3;
이렇게 하시면 돼요. 이렇게 분석하시면 A1, 첫 번째 항목이 marker 변수가 돼요.
만약 A2를 marker 변수로 하고 싶으시면
A BY A1* A2@1.0 A3;
감이 오시나요?
Fixed factor 할 때처럼 * 이걸 이용해서 A1에 고정된 marker를 풀어주고, 원하시는 항목에 @1.0 을 붙여주시면 돼요.
Output
이 정도만 아셔도 CFA는 그냥 하실 수 있어요. CFA를 하신다면 anaylsis는 설정 안하셔도 돼요. 그냥 model 설정만 해주세요.
예를 들어,
MODEL:
A BY A1 A2 A3;
B BY B1 B2 B3;
이렇게만 하시면 돼요.
OUTPUT:
도 살짝만 살펴볼께요.
제가 거의 항상 포함시키는 명령어는
SAMPSTAT;
이 명령어는 평균, 분산, 공분산 등의 대한 값을 계산해주고요
STDYX;
이건 표준화 값을 계산해줘요.
CINTERVAL;
95~99%의 confidence interval이 나오고요
MODINDICES;
이건 수정지수를 보여줘요. 그냥 이렇게만 치면 수정지수가 10이상인 관계만 보여주고요, 만약 그 이하 혹은 이상으로 리밋을 걸고 싶으시면
MOD(#);
여기서 원하시는 숫자를 넣으시면 돼요.
여기까지가 Mplus를 이용해서 SEM을 할 때 필요한 기초적인 커맨드를 다뤄봤어요. 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다음 번에는 Mplus로 특정 분석을 어떻게 하는지를 다뤄볼게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래요!
도움이 됐다면 커피 한 잔 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계 이야기 > Mplus를 이용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lus에서 ICC 계산하기 (9) | 2020.05.29 |
---|---|
Mplus 기초 4 (조절) (16) | 2020.05.28 |
Mplus 기초 3 (매개) (12) | 2020.05.27 |
Mplus 기초 1 (15) | 2020.05.26 |
- R 기초
- 조절분석
- mediation
- invariance test
- 부정적 평가 두려움 척도
- moderation
- process macro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multilevel
- process
- amos
- 사회심리
- social exclusion
- probing
- EFA
- indirect effect
- 프로세스
- 간접효과
- Hayes
- Mplus
- 논문통계
- close relationships
- 구조방정식
- 탐색적 요인분석
- MLM
- 매개효과
- SEM
- 소속감
- rstudio
- exploratory factor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