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비난에 관한 논문을 설명 해보려고 해요. 우리는 비난의 대상을 어떻게 찾는걸까요? 오늘의 논문의 레퍼런스예요. Spellman, B. A., & Gilbert, E. A. (2014). Blame, cause, and counterfactuals: The inextricable link. Psychological Inquiry, 25, 245-250. Counterfactual thinking이 뭔지 안다고 전제할게요. 뭔지 모르시는 분은 아래 포스팅 참고해주세요. [사회심리학 논문 읽기] - Counterfactual thinking (반사실적 사고) 인과 관계를 판단함에 있어서 이 반사실적 사고는 상당히 중요해요. 하지만 한 비난에 관한 이론에서 이에 대해 잘 다루지 못해서 이 논문은 이를 보..
혹시 counterfactual thinking 이 뭔지 아시나요? counter 의미가 좀 반대되는 그런 의미잖아요. 카운터 펀치 처럼요. factual은 뭔가요? fact가 "사실" 이니까 사실적인 그런 의미겠죠. 따라서 Counterfactual 은 사실과 반대되는거예요. 사실과 반대되는 생각이 그럼 뭘까요? 과거에 일어난 사실을 생각하는건 factual thinking이예요. 따라서 과거에 일어난 사실을 반대로 생각하는게 counterfactual thinking 이겠죠? (참고로 영어 논문에서 a counterfactual, counterfactuals 이런식으로 쓰면 counterfactual thoughts을 말하는 거예요.) 우리는 때때로 "~하면 어땠을까?" "만약 ~ 했다면?" 이런..
- amos
- 논문통계
- close relationships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조절분석
- Hayes
- multilevel
- process macro
- R 기초
- invariance test
- SEM
- EFA
- 소속감
- process
- exploratory factor analysis
- 프로세스
- rstudio
- indirect effect
- 구조방정식
- 부정적 평가 두려움 척도
- MLM
- 간접효과
- 사회심리
- Mplus
- 매개효과
- 탐색적 요인분석
- social exclusion
- moderation
- probing
- mediation